족소음신경(足少陰腎經)

 

內徑에 신(腎)은 작강지관(作强之官)으로 기교(技巧)가 이곳에서 나온다고 하였다. 작(作)은 동작을 뜻하고 강(强)은 짐을 짊어 멜 수 있는 만큼의 힘을 말한다. 기교(技巧)는 정교하게 영민하다는 말이며 신(腎)은 선천지기의 원기처이니 신기가 충만하면 영민할 뿐만 아니라 근골이 튼튼하고 동작에 힘이 있다는 생명의 근원처라는 뜻 이다.즉 신수(腎水) 는 심화(心火)가 인체의 생명유지 작용을 계속할 수 있도록 하여주는 에너지원인 것이다.

 

용천(湧泉)에서 시작하여 유부혈까지 인체의 좌우로 각각 27개씩 54개의 경혈이 분포되어 있으며, 신경(腎經)은 세 개의 부분으로 나누어 공부하면 쉽다. 첫 부분은 족부이니 발바닥의 용천(湧泉)에서 무릎의 음곡혈까지 이고, 둘째부분은 복부이니 횡골에서 유문혈까지이며, 이곳은 임맥을 중심으로 양 0.5寸 옆으로 나란히 있다, 셋째부분은 흉부이니 보랑에서 유부까지로 임맥을 중심으로 양 2寸 옆으로 나란히 있으며, 혈과 혈의 간격은 모두 1寸이다. 단, 황유와 상곡사이는 2寸이다. 신경(腎經)은 오수혈을 중심으로 공부를 하면 치료 시 효과를 배가할 수 있는 경락이다.

 

KI1 용천(湧泉)

湧은 분출한다는 것이며 泉은 땅 아래에서 솟아나온 물을 천(泉)이라 한다. 용천(湧泉)은 마치 발바닥에서 이와 같은 형국을 자아내는 곳에 위치하고 있어 용천(湧泉)이라 하였다. 발바닥에 사람 인(人)자 모양으로 무늬 진 오목한 곳에서 찾는다. 신경(腎經)의 정혈(井穴)로서 자궁하수, 불임, 하복냉증 등에 두루 쓰이나 특히 말을 할 때 발음이 정확하지 않을 경우 9 ․ 6補寫法 사용하여 치료한다. 이 때 발음이 정확해지면 즉시 발침한다.

【의역삼침법】

KI2 연곡(然谷)

연곡(然谷)은 그대로 풀이하자면 그러려니한 골짜기란 말이니 불임에 신묘하다.

KI3 태계(太谿)

太는 크다. 谿는 물이 흐르는 계곡(溪)이란 뜻이니 용천(湧泉)에서 솟아 큰 계곡(溪)의 물처럼 흐른다 하여 태계(太谿)라 하였다. 안쪽 복사뼈 꼭대기와 아킬레스건 사이 오목한 곳에 있다. 신경(腎經)의 원혈(原穴)로서 원기를 북돋아주고 뼈를 튼튼하게 하는 요혈이다.【의역삼침법】

KI4 대종(大鍾)

大는 성대하다는 뜻이고 鍾은 하늘이 부여한 것 즉 발꿈치를 합쳐 대종(大鍾)이라 하였다. 그렇다면 발꿈치는 왜 하늘이 부여했다고 했을까? 인간은 직립보행하게 되어있고 이를 총체적으로 받치는 대들보 역할을 하는 곳이므로 소중하다는 뜻으로 하늘이 부여했다고 한다. 태계(太谿)에서 0.5寸 아래 뒤쪽으로 나가면서 아킬레스건 바로 옆에 위치하여 전신의 무게를 감당하고 있으니 힘줄이 무기력하여 서지 못 할 때 예풍과 함께 침 2개로 자침하여 치료하는 요처이다.

KI5 수천(水泉)

泉은 수원(水源)이다. 穴이 태계(太谿) 下 1寸에 있어 안쪽 복사뼈 아래에 위치한다. 족소음신경(足少陰腎)의 극혈(郄穴)이니 신(腎)의 기혈(氣血)이 깊이 모이는 곳이다. 신(腎)은 물을 간직하고 주관한다. 穴이 깊은 수원(水源)과 비슷하고 물이 솟아 나오는 듯함으로 수천이라 하였다.

KI6 조해(照海)

照는 밝은 빛이 비치는 것이며 海는 수백의 내(川)와 강이 모여 들어가는 곳이다. 인체에서 해(海)는 눈(眼)이며, 이 穴이 눈에 병을 치료하여 시력을 밝게 하므로 조해(照海)라고 하였다. 음교맥이 시작되는 곳으로 8맥 교회 穴의 하나이며 陰氣를 자양하여 신(腎)을 보하며 열(熱)을 내리고 습(濕)을 내보내는 효과가 있다. 열결혈과 짝지어 치료하면 흉부질환에 효과가 큰 穴이다.

KI7 복유(復溜)

復은 다시 돌아선다는 뜻이며 溜는 물이 흐르는 모양이다. 안쪽 복사뼈 뒤쪽으로 태계에서 시작된 穴이 대종 수천으로 내려와 조해(照海)에 이르러 역(逆)으로 솟구쳐 오르는 穴의 모습을 이름하여 그대로 복유(復溜)라 하였다. 태계 위로 2寸 아킬레스건 앞쪽 끝에서 찾는다. 신경(腎經)의 금(金)혈로 도한(盜汗)에 탁월한 치료처 이다.

KI8 교신(交信)

交는 교회(交會)한다는 뜻이며 믿음(信)은 오행상 토(土)에 속한다. 토경(土經)인 비경(脾經)의 삼음교(三陰交)에서 만난다는 의미의 穴이다. 삼음교(三陰交)아래 1寸 된 곳에서 찾는다.

KI9 축빈(築賓)

築은 단단하고 실하게 만든다는 것이며 賓은 머무는 곳을 말한다. 이 穴은 하퇴(下腿)를 높이 들어 올릴 때 비복근육이 수축되어 단단해지므로 축빈이라 하였다. 복유 위 3寸 된 곳에서 찾으며 모든 독성에 탁월한 해독 작용을 갖고 있는 穴이다. 여러 곳을 벌에 쏘였거나, 약물에 중독이 되었을 때 축빈(築賓)에 자침하고 瀉血한다.

KI10 음곡(陰谷)

陰은 안쪽에 있다는 것이며 谷은 오목하게 들어간 곳을 말한다. 무릎아래 견골 안쪽으로 돌출된 뼈의 뒤쪽에 위치하여 대근(大筋)의 아래와 소근(小筋)의 위로 양 근의 사이가 마치 계곡과 같으므로 이렇게 이름 하였다. 신수경(腎水經)의 수혈(水穴)로 중요한 穴 중의 하나이며 무릎 관절염, 자궁출혈, 요도방광염, 질 내염 등에 고루 쓰이며 효과가 탁월한 穴이다.

【의역삼침법】

KI11 횡골(橫骨)

횡골(橫骨)은 치골(恥骨)이다. 치골결합(恥骨結合)에 양쪽에 있으므로 횡골(橫骨)이라 하였다.횡골(橫骨)에서 위로 유문혈까지 임맥 양 옆으로 0.5寸에서 신경이 뻗어 올라간다. 횡골(橫骨)은 방광이 마비되어 소변이 불리하거나, 전립선염을 치료할 때 30-40분 유침하는 곳이며, 압봉을 붙여 2-3일 가도록 나두어도 치료효과가 큰 穴이다.

KI12 대혁(大赫)

대혁(大赫)은 크게 성(盛)하면서 밝은 곳이란 뜻으로 붙여진 이름이다. 생식기 질환, 적백대하, 조루증에 치료효과가 좋은 穴이며 횡골 1寸위에서 찾는다.

KI13 기혈(氣穴)

기혈(氣穴)은 신기(腎氣)가 모여드는 곳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충맥과 만나는 곳으로 불임증, 신장염을 치료하는 穴이며, 대혁 1寸위에서 찾는다.

KI14 사만(四滿)

四는 복부에 있는 신경의 경혈 중에서 4번째 있는 穴이라는 뜻이며, 滿은 가득 찰 만자로 배가 팽팽하게 차오르는 증상을 없애는데 효과가 있다하여 사만(四滿)이라 하였다.

KI15 중주(中注)

中은 집중한다는 것이며 注는 흘러들어간다는 뜻이니 신기(腎氣)가 모이는 곳이라 중주라고 하였다. 임맥의 음교혈 옆에 있으며, 하복통, 변비, 장염이 발생할 때 30-40분 유침하는 穴이다

KI16 황유(肓兪)

肓은 장부사이를 둘러싼 막이다. 기(氣)가 여기서 복강 내로 깊이 들어가 황막(肓膜)에 주입되므로 황유라 하였다. 배꼽 옆 0.5寸에 있으며, 위경련, 자궁경련 등 장부경련증에 유효하게 쓰이는 穴이다.

KI17 상곡(商曲)

商은 금(金)이며 대장(大腸)이다. 이 穴의 안에 대장(大腸)이 상행결장에서 횡행결장으로 굽어지기 때문에 굽을 곡(曲)을 붙여 상곡(商曲)이라 하였다. 신궐(배꼽:神闕) 위 2寸 양 옆 0.5寸에 있으며 위경련, 장산통 등이 발생하며, 역기(逆氣)하여 열이 안구를 충혈시키는 병증에 유효하게 쓰이는 穴이다.

KI18 석관(石關)

石은 통하지 않음이니 병이 완고하고 강할 때 석(石)이라 한다. 關은 단단함을 말하니 석관(石關)을 눌러 통증이 느껴지면 병이 깊어져 있음을 의자(醫者)는 반드시 참고하여 쉽게 나을 수 있는 병이라고 장담하지 않아야 한다. 상곡 1寸 위에 있으며, 구토 시 방광경의 양강(陽綱)과 함께 엄지손가락으로 눌러 치료하는 穴이다.

KI19 음도(陰都)

陰은 신(腎)이며 都는 도시(都市)이다. 신경과 충맥이 만나고 胃經의 가운데 위치하여 식궁(食宮)이라는 별명을 갖고 있는 穴로서 여러 경맥이 모여든다하여 음도(陰都)라 하였다. 배가 아프거나 장에서 소리가 나는 병증에 유효하게 쓰이는 穴이다.

KI20 복통곡(腹通谷)

通은 통과한다는 것이며 谷은 골짜기이니 신경과 충맥의 氣가 여기를 통과하여 가슴 쪽으로 흩어지기 때문에 통곡(通谷)이라 하였으며, 음도(陰都) 1寸 위의 복부에 위치하여 복통곡이라 하는데 특히 배가 불룩해지며 소화가 잘 되지 않을 때 유효하게 쓰이는 穴이다.

KI21 유문(幽門)

幽는 그윽할 유(幽)자로 안으로 감추어진 것을 말하며 門은 드나드는 곳이니 깊은 곳까지 출입한다는 뜻으로 유문이라 하였다. 통곡혈 1寸 위에서 찾는다. 임맥의 거궐, 구미혈에 사혈을 해야 할 때 함께 쓰는 穴이다.

KI22 보랑(步廊)

步는 걸을 보(步)이니 穴이 천천히 배에서 가슴으로 진행하는 모습이며 廊은 돌아가는 길을 말하니. 이 穴이 유문에서 흉부로 나아가는 형상을 그대로 이름하여 보랑(步廊)이라 하였다. 임맥의 중정혈 양 옆 2寸에서 찾으며 이하 유부까지 찾는 방법이 같다. 제5늑간에 위치하며 늑간신경통, 늑막염에 유효하고 침은 횡자로 자침한다.

KI23 신봉(神封)

神은 심(心)이고 封은 경계(境界)이니 이 穴이 심장과 가까운데 있으므로 붙여진 이름이다. 제4늑간에 있고 협심증, 흉만통, 유종(乳腫)에 유효하게 쓰이는 穴이다.

KI24 영허(靈墟)

靈은 신(神)이요, 심(心)이고, 墟는 장소를 말함이니, 이 穴이 심(心)의 옆에 있어 신봉(神封)혈과 같은 역할을 한다. 제3늑간에서 찾는다.

KI25 신장(神臧)

神은 심(心)이고 臧은 저장함을 말하니 의미로 살필 때 신봉(神封),영허(靈墟)와 같고 효능은 기침을 하며 숨을 헐떡이거나 가슴이 아프며 구토하거나 가슴이 답답하며 입맛이 없는 복합적인 병증을 한꺼번에 치료하는데 유효하다. 제2늑간에서 찾는다.

KI26 욱중(彧中)

彧은 화려한 무늬나 미적인 장식을 말하는 것으로 임맥의 화개혈과 나란히 있어 肺를 가리키는 말이다. 中은 잘 간직된다는 의미이니 폐의 질병을 치료할 때 유효한 穴이다. 제1늑간에서 찾는다.

KI27 유부(兪府)

兪는 혈(穴)이요 府는 모이는 곳을 가리키니 신경(腎經)의 氣가 발에서 배를 지나 가슴을 통해 이곳으로 집결한다하여 유부라고 하였다. 쇄골아래에 있으며 불면증에 유효하게 쓰이는 穴이다.

출처 : 의역삼침
글쓴이 : 의역삼침 원글보기
메모 :

'건강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6. 수태양소장경  (0) 2017.07.06
[스크랩] 7. 족태양방광경  (0) 2017.07.06
[스크랩] 9. 수궐음심포경  (0) 2017.07.06
[스크랩] 10. 수소양삼초경  (0) 2017.07.06
[스크랩] 11. 족소양담경  (0) 2017.07.06

+ Recent posts